[스크랩]
새 가구, 한달 지나도 폼알데하이드 방출량 30%밖에 안 줄어 |
○ 1m3 와 24m3 크기의 방출시험 챔버를 이용하여 가구류는 28일간, 전기·전자제품류는 제품 가동 전·후에 오염물질 방출량을 측정하였다. ※ 방출시험용 챔버 내부는 일반적인 실내공간과 유사하게 온도 25℃±1, 습도 50%±5로 설정하여 시험 □ 가구류에 대한 오염물질 방출량 조사 결과, ○ 새 가구류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, 28일 이후에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량은 평균 81%, 폼알데하이드 방출량은 평균 30%정도 감소에 그쳤다. - 따라서 생산 된 지 1개월이 경과한 제품이라도 실내로 들여놓거나, 새 가구 구입 후에는 환기를 충분히 해 줄 필요가 있다. ○ 목질재, 스펀지, 가죽류 등 다양한 소재가 복합적으로 사용된 소파의 경우, 7일차에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량은 21.64㎎/unit·h, 폼알데하이드 방출량은 2.86㎎/unit·h로 기타 가구류 평균값에 비해 각각 6배 정도 많이 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. ○ 열이 발생하지 않는 가동 전에 비해 열이 발생하는 제품 사용 중에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량이 약 2배~100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급적 사용시간을 줄이고 장시간 사용 시에는 잦은 환기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. ○ 프린터 및 복사기 등 사무기기는 대기모드보다 인쇄 시에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량이 5배 이상 증가하였고, 흑백 인쇄보다 컬러 인쇄 시 오염물질 방출량이 2배 이상 높게 나타나 사무기기에 사용되는 토너가 오염물질 방출의 원인 중 하나로 파악되었다.
붙임 : 1. 방출시험 과정 2. 가구류의 기간별 오염물질 감소비 3. 가구류의 방출량 비교 4. 전기·전자제품 방출시험 결과 5. 1㎥ 및 24㎥ Chamber 사진(외관, Open door) 문의 : 국립환경과학원 실내환경과 임정연 연구사, 032-560-7325 |